일본에 넘어갈 뻔한 한국 도자기 최고의 걸작

일본에 넘어갈 뻔한 한국 도자기 최고의 걸작

해적6479



3232244481_U3QZJGuq_14b02aa5b41feec54c6b25b5f9c86b2d1ae863ce.jpg

 

고려의 청자문화의 정수이자, 한국 도자기 최고의 걸작으로 평가받는 "상감운학문매병"

 

매병의 우아한 선, 둥근 원을 두른 채 날아오르는 학들의 배치, 그 주변에 하강하는 학들과 부드러운 구름, 연꽃잎을 배치한 하단의 마무리까지 모든 요소가 아름답다.

 

 

 

 

 



3232244481_Tq6d8fzs_1784341649eb870ec2edd4d8c39c0ebbd1dbccb8.jpg

 

 

이 아른다운 청자 매병에 대한 소문은 삽시간에 퍼졌다. 조선총독부도 이 청자를 구매하려 했으나 판매자가 제시한 가격은 기와집 20채 값에 해당하는 2만원이었다. 너무 높은 가격 때문에 총독부 조차 거래를 망설였다.

 

 

 



3232244481_yjm3SgVZ_3cef2e7f4c0024aecaf05753d4e3970d08425730.jpg

 

이 때 한국의 부자였던 간송 전형필이 매병을 구매했다. 간송은 한국의 문화유산들을 지키고자 사비를 털어 사들이고 있었다. 엷은 미소를 띄며 2만원의 거액이 든 돈가방을 내미는 간송.


오사카의 대수장가 무라카미가 소식을 듣고 뒤늦게 달려왔다. 간송에게 원래 산 가격의 두 배인 4만원을 줄테니 자신에게 팔아달라고 부탁했다.

 

 

 



3232244481_yjm3SgVZ_3cef2e7f4c0024aecaf05753d4e3970d08425730.jpg

 

간송은 정중히 거절했다. "양보해드리지 못해 죄송합니다. 이보다 더 뛰어난 청자를 가지고 오신다면 그 청자도 가격을 치르고, 이 매병을 원래 가격인 2만 원에 그대로 드리겠습니다"

 

그 말을 들은 무라카미는 크게 웃더니 구매를 포기했다. 이것보다 더 뛰어난 청자는 없다는 걸 알았기 때문이다.

 

 

 



3232244481_QsKten2G_3887f87f8b507efaa2710414184c21e2551b5d99.jpg

 

무라카미: "제가 졌습니다. 저의 결례를 용서하십시오”

 

결국 무라카미는 "조선 제일의 수장가가 되십시오" 라는 덕담을 남기고 떠났다.

 

 

 



3232244481_Jf8upsXF_96041d664212a9367cdf1eceb64e8c9d14b5bcba.jpg

 

간송은 일생에 걸쳐 수많은 한국 문화재를 사들였는데 훈민정음 해례본도 간송이 구입한 것이다. 간송은 일제의 파괴로부터 해례본을 지키기 위해 광복 전까지 존재 사실을 철저하게 비밀로 했다. 625전쟁 때도 이 유물을 지키기 위해 전쟁 피난 중에도 항상 베개 밑에 숨겨두고 잘 정도로 소중히 여겼다.

 

 

 



3232244481_dJGHo7fB_daf4dc5d37d682f29f5f0924ccd78c90d074b33c.jpg

 

간송 전형필의 헌신 덕분에 청자 상감 운학문 매병, 훈민정음 해례본 등 소중한 한국 문화유산들을 지킬 수 있었다. 우리가 선조들의 위대한 유산을 볼 수 있는 건 애국자들의 헌신 덕분이라는 걸 기억하고 감사함을 느끼자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