닉 잘 짓는다던 페이거가 썼던 닉네임들

닉 잘 짓는다던 페이거가 썼던 닉네임들

해적4642


3232244481_bpX4gUIx_ee94a925dd6e5f2e7ac42e6e46fc78f4f99b126d.webp

 

프로 데뷔 전에 썼던 닉네임 고전파

 

 

 

 


3232244481_4iQm6jFI_909cdb431deb9157cfeded24e2689f95aacf50a7.webp

 

롤드컵 시즌3(페이커가 데뷔했던 해) 연습할때 사용했던 닉네임 바코드킬러

게임사 측이 프로게이머들에게 현지 핑 적응과 게임 연습을 위해 슈퍼계정(올캐릭터 보유, 올스킨 보유, 게임할때 높은 등급의 유저들과 바로 매칭될 수 있도록 설정된 계정을 말함)을 지급해줄때 바코드닉네임으로만 설정해서 줬었는데 선수들은 바코드 닉네임을 사용할지, 바꿀지 정할 수 있었다고 함

프로게이머 대부분은 바코드 닉네임을 사용했었는데 페이커는 프로게이머들을 다 킬 해버리겠다는 의미로 닉네임을 바코드킬러로 지음

 

 

현재 아프리카TV에서 롤 할때 사용하는 닉네임 hide on bush

부쉬안에 숨는다는 뜻인데 사람들은 저걸 줄여서 하온부라고 부름

참고로 페이커가 hide in bush가 맞는 표현이라고 인터뷰할 때 말했음

 

 

 


3232244481_RXbmhLVM_36d6f06da69e25ec3b2f856bbc241514144a8739.webp

 

유럽 서버에서 사용했던 닉네임 wincg

FAKER를 역순(REKAF)으로 쓴 다음 문자를 +5, +4, +3, +2, +1로 밀어내는 규칙

w=r뒤 5번째 알파벳

i=e뒤 4번째 알파벳

n=k뒤 3번째 알파벳

c=a뒤 2번째 알파벳

g=f뒤 1번째 알파벳

이 닉네임 지을때 추리 소설을 읽고 있었다는 말이 있음

 

그리고 Faker

페이커가 프로로 데뷔하기 위해선 영어닉네임이 필요했는데 고전파를 발음 그대로 영어로 쓸지, 고전의 영어인 클래식으로 할지 고민이 많았다고 함

그러다 워크래프트를 플레이 하던 중 한 유저의 아이디가 자신의 플레이에 알맞다고 생각해 페이커라고 지음

그리고 고전파의 플레이를 봤거나 고전파를 알던 사람들은 고전파가 아니라 페이커라는 닉네임을 쓰자 아쉬워한 사람이 상당히 많았다고 하더라

게임을 굉장히 잘해서 당시 프로로 뛰던 사람들도 고전파는 프로로 데뷔해도 상당히 잘 할거라고 이야기 했었대

 

 

 

번외로 고전파 시절 아프리카TV에서 방송할때 사용했던 닉네임이라는 황소고집

시즌4 올스타전 MSI에서 사용했던 highwater(고수ㅋㅋㅋ)

시즌5 롤드컵 Koearn

2015 올스타전 I have a candy

2016 MSI 这个人不呼吸了(이 사람 숨을 안쉬어요 라는 뜻)

2016 올스타전 kind Faker

등이 있음ㅋㅋㅋㅋㅋㅋㅋ 

 

여기서 페이커가 보유하고 있는 계정은 고전파, 황소고집, T1 Faker, hide on bush 밖에 없음

나머지는 전부 슈퍼계정 닉네임

찾아보니까 고전파->T1 Faker로 바뀌고 황소고집-> hide on bush로 바뀌었다는 말도 있던데 이건 사람들끼리 말이 다 갈려서 잘 모르겠음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