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게 파느니 태워버리는 명품들
![3232244481_f56JojK4_4fcdedf51d99abc62cbaf4e1969a277ff17655f2.jpg](https://corsair.kr/data/editor/2502/thumb-3232244481_f56JojK4_4fcdedf51d99abc62cbaf4e1969a277ff17655f2_600x338.jpg)
샤넬, 에르메스, 루이비통.
명품 브랜드들 가운데에도 가장 비싼 초고가 브랜드 들이죠.
가방 한 개가 천만 원이 넘는데도, 없어서 못 살만큼 품귀 현상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이 명품 브랜드들의 가격에 감춰진 비밀을 오해정 기자가 집중 취재 했습니다.
![3232244481_z7swirXk_43efdb640abf4b2cc3e2ccca39eda4ad4067fc66.jpg](https://corsair.kr/data/editor/2502/thumb-3232244481_z7swirXk_43efdb640abf4b2cc3e2ccca39eda4ad4067fc66_600x340.jpg)
백화점 문을 열기도 전에 명품을 사려고 선 긴 줄.
오픈런이라고 부르는, 익숙한 풍경입니다.
![3232244481_4mkbTPqi_6ff4cdae5242304c78355dcda7e1c5a2d9f60cfb.jpg](https://corsair.kr/data/editor/2502/thumb-3232244481_4mkbTPqi_6ff4cdae5242304c78355dcda7e1c5a2d9f60cfb_600x338.jpg)
명품이라고 다 같은 명품은 아닙니다.
고가 명품일수록 지난해 매출이 높았습니다.
루이비통의 매출이 지난해 처음으로 1조를 넘었고, 샤넬과 에르메스의 매출도 각각 9천억과 4천억이 넘었습니다.
![3232244481_LF2zIgfJ_d3cb9eb7d1e5fb1b80af016dc9b257863aa4c7e4.jpg](https://corsair.kr/data/editor/2502/thumb-3232244481_LF2zIgfJ_d3cb9eb7d1e5fb1b80af016dc9b257863aa4c7e4_600x335.jpg)
반면 가격이 비교적 저렴해 입문용 명품으로 불리는 토즈와 페라가모는 지난해 매출이 줄고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3232244481_FMNaDSuq_810359ca6e8c074f253923975c76af0a647c0429.jpg](https://corsair.kr/data/editor/2502/thumb-3232244481_FMNaDSuq_810359ca6e8c074f253923975c76af0a647c0429_600x333.jpg)
명품들은 왜 비쌀수록 잘 팔릴까?
여기에는 교묘한 마케팅 전략이 숨어 있습니다.
![3232244481_vhnjxU2w_ea2eb69e0ae1b2993ad86653e08e0c24323d51d9.jpg](https://corsair.kr/data/editor/2502/thumb-3232244481_vhnjxU2w_ea2eb69e0ae1b2993ad86653e08e0c24323d51d9_600x336.jpg)
6년 전 1천5백만 원대였던 에르메스 버킨백.
지금은 3천만 원이 넘습니다.
![3232244481_8ouwkiZJ_a279460a05b6a7c6354ec88295695b8689f20cbe.jpg](https://corsair.kr/data/editor/2502/thumb-3232244481_8ouwkiZJ_a279460a05b6a7c6354ec88295695b8689f20cbe_600x337.jpg)
4년 전 7백만 원대였던 샤넬 클래식 라지 핸드백.
지난해 1천만 원을 돌파했습니다.
![3232244481_cVyTnA75_8fa9ffe05caadebd19794c17075893c153876f39.jpg](https://corsair.kr/data/editor/2502/thumb-3232244481_cVyTnA75_8fa9ffe05caadebd19794c17075893c153876f39_600x337.jpg)
똑같은 제품인데 1년에 두 세 번씩 가격을 올립니다.
루이비통은 올해 넉 달 동안 벌써 4번 가격을 올렸습니다.
이런 가격 인상은 마케팅 기법입니다.
지금 안 사면 손해라고 소비자들을 유혹합니다.
제품이 언제 들어오는지, 어느 매장에 있는지도 모두 비밀에 부칩니다.
![3232244481_FR3SiHJD_07786ac80afe51fe7e9f1626198f06e93061e49c.jpg](https://corsair.kr/data/editor/2502/thumb-3232244481_FR3SiHJD_07786ac80afe51fe7e9f1626198f06e93061e49c_600x339.jpg)
![3232244481_hEzRHuAj_f84869c77fa882c21c49f4a9111f530eec9fb697.jpg](https://corsair.kr/data/editor/2502/thumb-3232244481_hEzRHuAj_f84869c77fa882c21c49f4a9111f530eec9fb697_600x334.jpg)
세일은 일부 VIP 고객에게만 합니다.
재고를 할인하는 아울렛도 없습니다.
![3232244481_w8ABpGFY_8b0bd399463a1566908b19fc79b437fb9fa4a33c.jpg](https://corsair.kr/data/editor/2502/thumb-3232244481_w8ABpGFY_8b0bd399463a1566908b19fc79b437fb9fa4a33c_600x335.jpg)
![3232244481_qb2V95Gt_e0ef94bff3ec22338156f64559e80b2c22bda272.jpg](https://corsair.kr/data/editor/2502/thumb-3232244481_qb2V95Gt_e0ef94bff3ec22338156f64559e80b2c22bda272_600x335.jpg)
팔지 못하고 남은 제품은 아예 소각해버리기도 합니다.
업계에서는 루이비통과 에르메스가 재고를 소각하는 이른바 "재고 파괴"를 한다는 게 공공연한 비밀입니다.
![3232244481_mhE9ADys_18b72b4a64f10356e829d83aef7f07aa4bedea3e.jpg](https://corsair.kr/data/editor/2502/thumb-3232244481_mhE9ADys_18b72b4a64f10356e829d83aef7f07aa4bedea3e_600x339.jpg)
![3232244481_SwLH7qT6_80f235686c049b7206245842d2099dbbe2d5ccf5.jpg](https://corsair.kr/data/editor/2502/thumb-3232244481_SwLH7qT6_80f235686c049b7206245842d2099dbbe2d5ccf5_600x334.jpg)
이렇게 소각하면 회계상 손실로 처리하고 세금도 아낀다고 합니다.
![3232244481_XUgZnaEs_052710d3225d33da0153705eb016d13d1f380264.jpg](https://corsair.kr/data/editor/2502/thumb-3232244481_XUgZnaEs_052710d3225d33da0153705eb016d13d1f380264_600x334.jpg)
살 수 있는 양도 제한합니다.
샤넬은 한 사람이 한 달에 살 수 있는 게, 가방은 한 개, 지갑은 3개까지로 정해놨습니다.
![3232244481_LY3TSZpf_b33c8d4cc9a906167ed244bc8f9a9d7c6113a5e8.jpg](https://corsair.kr/data/editor/2502/thumb-3232244481_LY3TSZpf_b33c8d4cc9a906167ed244bc8f9a9d7c6113a5e8_600x335.jpg)
이렇다 보니 전문업자들은 시간당 1만 원을 주고 알바생까지 써서 명품을 사재기합니다.
![3232244481_TemHXxUC_f268967e6a8c708e2eceb73ea4793a91dbe37000.jpg](https://corsair.kr/data/editor/2502/thumb-3232244481_TemHXxUC_f268967e6a8c708e2eceb73ea4793a91dbe37000_600x334.jpg)
![3232244481_klT7znyq_08a90d26c1cbeb7a7beafcb4a6ad1e927b1325e7.jpg](https://corsair.kr/data/editor/2502/thumb-3232244481_klT7znyq_08a90d26c1cbeb7a7beafcb4a6ad1e927b1325e7_600x329.jpg)
코로나19가 덮친 2020년 한 해, 전세계 명품 매출은 19%나 줄었지만, 한국만 예외였습니다.
15조 원 어치가 팔려, 독일을 제치고 세계 7위에 올랐습니다.
![3232244481_G5TM604Q_bec062e80034682a705c559a1d32060bd59ea4c6.jpg](https://corsair.kr/data/editor/2502/thumb-3232244481_G5TM604Q_bec062e80034682a705c559a1d32060bd59ea4c6_600x338.jpg)
특히 20대와 30대의 명품 쇼핑이 무섭습니다.
백화점 명품 매출의 절반을 2~30대 젊은이들이 올려줬습니다.
2~30대는 왜 명품을 살까요?
이들을 만나봤습니다.
패션 유튜버 하빠 씨.
사무실 한 쪽이 명품 운동화들로 가득 차있습니다.
여성용 핸드백, 옷과 모자, 열쇠고리까지 싹 다 명품입니다.
![3232244481_YmZS3fuF_02cbf256f16b4e210636eb4b4406e424844b1279.jpg](https://corsair.kr/data/editor/2502/thumb-3232244481_YmZS3fuF_02cbf256f16b4e210636eb4b4406e424844b1279_600x336.jpg)
![3232244481_qzYKBar7_09bcea3f64a81041d2ca9f849c5266bb4fa6c10d.jpg](https://corsair.kr/data/editor/2502/thumb-3232244481_qzYKBar7_09bcea3f64a81041d2ca9f849c5266bb4fa6c10d_600x333.jpg)
2, 30대들에게 중고거래는 하나의 문화입니다.
명품 옷이나 신발도 사서 쓰다가 되팝니다.
중고거래 앱 이용자 수는 1년만에 2.5배나 늘었습니다.
인기 제품은 중고 가격이 오히려 정가보다 비쌉니다.
비싸도 일단 살 수 있으면 사는 게 이익인 셈입니다.
![3232244481_Fzfa57St_501fff4b15e6fe6b15586acc5cf4e07751d32720.jpg](https://corsair.kr/data/editor/2502/thumb-3232244481_Fzfa57St_501fff4b15e6fe6b15586acc5cf4e07751d32720_600x334.jpg)
![3232244481_86ruzJy7_8a7cc9335d848d21bd19f3908951fcf06eea3018.jpg](https://corsair.kr/data/editor/2502/thumb-3232244481_86ruzJy7_8a7cc9335d848d21bd19f3908951fcf06eea3018_600x337.jpg)
![3232244481_IGZ1K0sO_bf0a63fc9909666e2be2c294d7618d61164372e3.jpg](https://corsair.kr/data/editor/2502/thumb-3232244481_IGZ1K0sO_bf0a63fc9909666e2be2c294d7618d61164372e3_600x336.jpg)
아예 처음부터 재테크 목적으로 명품을 사들이기도 합니다.
대학생 김재돈 씨.
매달 한정판 운동화 추첨에 응모합니다.
당첨되면 정가에 사서, 비싸게 되팝니다.
10만 원에 산 운동화를 120만 원에 되판 적도 있습니다.
![3232244481_XadGTefY_181210a24c9af23a1bda57c5b70a4054bc4fd4bc.jpg](https://corsair.kr/data/editor/2502/thumb-3232244481_XadGTefY_181210a24c9af23a1bda57c5b70a4054bc4fd4bc_600x333.jpg)
돈 될만한 건 뭐든 투자 대상으로 바꿔버리는 시대.
2-30대들에게 오히려 명품은 접근 가능한 투자처입니다.